[SQL]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(with MySQL)
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
위 표는 데이터를 한눈에 보기 쉬움
아래 두 개 테이블은 데이터를 볼 때 그 행에 해당하는 또 다른 테이블과 비교하며 봐야하는 불편함이 생김
하지만 ‘egoing’이라는 동명이인이 있다고 예를 들면, author_id라는 고유값을 통해 구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
테이블 분리하기
JOIN
JOIN을 통해 각각 독립적인. 분리된 테이블을 읽을 때 마치 그 테이블이 하나의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었던 것처럼 데이터를 볼 수 있다.
테이블과 테이블을 JOIN 하기 위해서는…
위 두개의 테이블의 결합고리는 topic
테이블의 author_id
와 author
테이블의 id
값이다.
“topic 테이블에 있는 모든 행을 출력하는데, 그 때에 author_id 값과 같은 값을 가지고 있는 author 테이블에 있는 행을 가져와서 topic 테이블에 붙여”
JOIN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답게 하는 매우 중요한 기능
Leave a comment